본문 바로가기
금융상품

주택연금 가입 조건, 수령 금액, 신청 방법 (+수령액 계산)

by 빠르동 2025. 4. 15.
반응형

“집은 있는데 현금이 없다면?”
노후에 가장 필요한 건 안정적인 소득입니다.
그 해답은 바로 주택연금!
국가가 보증하고, 평생 거주 보장까지 되는 주택연금 제도를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


1. 주택연금이란?

주택연금은 고령자가 소유한 주택을 담보로 맡기고, 그 집에서 계속 살면서 국가가 매달 연금을 지급해주는 제도입니다.

  • 국가가 연금 지급을 보증하므로 연금 중단 위험 없음
  • 평생 거주, 평생 지급 보장
  • 상속 시에도 합리적 정산 가능

2. 2025 주택연금 가입조건

📍 2주택자라도 3년 내 1주택 처분 계획이 있으면 가입 가능!

주택연금 가입조건 자세히 보기


3. 주택연금 수령액 결정 요소

연금 월지급금은 아래 2가지에 따라 결정됩니다.

  1. 주택 가격 – 공시가격, 감정평가가 기준
  2. 가입자의 연령 – 나이가 많을수록 월 지급금 증가

✔ 참고: 아파트는 부동산원/KB시세 기준, 기타 주택은 감정평가 기준


4. 주택연금 지급 방식 & 지급 유형

✅ 지급 방식 (5가지)

  1. 종신지급방식: 수명과 상관없이 평생 월지급금 수령
  2. 종신혼합방식: 일부는 초기 일시금, 나머지는 평생 월지급금
  3. 확정기간혼합방식: 특정기간 보장형, 이후 종신지급
  4. 대출상환방식: 기존 담보대출 상환 후 남은 금액 연금으로 수령
  5. 우대지급방식: 기준연금수급자(65세 이상, 저가주택 보유) 우대

✅ 지급 유형 (3가지)

  • 정액형: 매월 동일 금액
  • 초기증액형: 초기 3~10년 더 많이, 이후 줄어듦
  • 정기증가형: 처음 적게, 이후 매 3년마다 4.5% 증가

5. 초기보증료와 연보증료

  • 초기보증료: 주택가격의 1.5%
    (우대방식 또는 대출상환방식: 1.0%)
  • 연 보증료: 잔액의 연 0.75% (우대 방식 1.0%)

👉 보증료는 직접 납부 아님. 연금대출금에 포함돼 월지급금에서 자동 차감됩니다.


6.주택연금 종류 (4가지 대표 상품)

주택연금 종류 자세히 보기


7. 주택연금지킴이 통장 (전용계좌)

  • 압류 금지: 월 185만원 이하 금액은 압류 불가
  • 가입자 보호를 위한 별도 계좌 운영
  • 주요 은행 (KB, 신한, 우리, 농협 등)에서 개설 가능

8. 주택연금 세금 혜택


9. 상속 시 정산은?

  • 집값 > 연금지급총액: 남은 금액 상속인 귀속
  • 집값 < 연금지급총액: 추가 청구 없음!

즉, 손해는 없음, 이익은 상속 가능


10. 주택연금 지급 정지 사유

  • 부부 모두 사망
  • 모두 주민등록 이전 or 1년 이상 미거주
  • 주택 처분/양도, 용도 외 사용 등
  • 보증금 초과 또는 서약 불이행 시

11. 주택연금 신청방법 (3단계)

  1. 확인서 발급: 주택금융공사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
  2. 전용 통장 개설: 제휴 은행 방문 후 ‘주택연금지킴이 통장’ 개설 ( KB, 농협, 신한, 우리, 하나, 기업, 수협, 부산, 경남, 전북, 대구, 광주, 지역 농·축협)
  3. 수령 통장 등록: 수령계좌로 등록하면 매달 자동 입금

주택연금 신청방법 자세히 보기


12. 결론 

✔️ 집은 있지만 노후가 불안하다면, 주택연금은 필수 자산관리 수단입니다.
✔️ 조건만 맞다면 국가가 보증하는 평생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지금 바로 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에서 예상 수령액 조회해보세요!

 

예상 연금액 조회

 

함께 보면 좋은 글

https://dongdongblog.co.kr/473

 

국내 상장 S&P500 ETF 비교, 추천 (TIGER, KODEX, ACE)

미국 증시에 직접 투자하지 않아도, 국내 상장 ETF로 손쉽게 S&P500 지수에 투자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S&P500은 미국 경제를 대표하는 500개 대형 우량주로 구성된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

dongdongblog.co.kr

 

https://dongdongblog.co.kr/469

 

CMA 금리 비교, 추천 (최신)

재테크의 첫걸음, 바로 CMA 통장입니다. 은행 예금처럼 안정적이면서도 수시 입출금 가능, 게다가 일일 이자 지급까지 되는 CMA는 단기 자금 운용에 최적화된 상품입니다.그렇다면, 2025년 현재 가

dongdongblog.co.kr

 

https://dongdongblog.co.kr/464

 

금 시세, 국내 금 ETF 추천

2025년 4월, 글로벌 경제 불안정과 미중 무역 갈등이 격화되며 금 시세가 연일 고점을 갱신하고 있습니다. 특히 안전자산으로서 금의 가치가 재조명되며, 국내 금 ETF 상품에 대한 투자 관심도 급

dongdongblog.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