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모주

바이오비쥬 공모주, 상장

by 빠르동 2025. 4. 25.
반응형

2025년 5월, 글로벌 메디컬 에스테틱 기업 바이오비쥬가 코스닥 시장 상장을 앞두고 있습니다. 스킨부스터, 히알루론산(HA) 필러 등 고성장 산업의 중심에 있는 바이오비쥬는 안정적인 실적강력한 수출 경쟁력으로 주목받고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바이오비쥬의 공모주 청약 일정, 투자 포인트, 재무 정보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테니 참고바랍니다!


1. 바이오비쥬 기업 개요

  • 설립연도: 2018년 (前 제이제이메디컬)
  • 사업영역: 메디컬 에스테틱 제품 개발·생산·판매
  • 주요제품: 스킨부스터, HA 필러 (칸도럽, 아세나르트, 코레나 브랜드)
  • 매출 비중: 수출 약 78%, 중국 중심 → 21개국 확장 중
  • 2024년 실적:
    • 매출: 296억 원
    • 영업이익: 92억 원
    • 당기순이익: 72억 원
  • 모회사: 청담글로벌 (지분 50.85%, 코스닥 상장사)

2. 바이오비쥬 공모 일정

  • 공모주식수: 3,000,000주 (100% 신주)
  • 희망공모가: 8,000원 ~ 9,100원
  • 예상 시가총액: 약 1,204억 ~ 1,369억 원
  • 청약 최소 증거금: 약 45,500원 (청약단위 10주 기준)

3. 투자 포인트

1️⃣ 압도적 수출 비중 = 수출 전문 기업

  • 2024년 기준, 전체 매출의 78%가 수출
  • 중국 외에도 베트남, 중동, 유럽, 남미 등 21개국 네트워크 확장 중

2️⃣ 고성장 실적 기반

  • 2021~2024년 연평균 매출 성장률 50.2%, 영업이익 성장률 187%
  • 2024년 영업이익률 31.1%, 순이익률 24.3%로 수익성 매우 우수

3️⃣ 2공장 증설로 생산량 3.3배↑

  • 공모자금 약 238억 원 중 200억 원을 시설 자금으로 투입
  • 생산능력: 연간 300만개 → 800만개 이상 확대

4️⃣ 국내외 유통채널 강화

  • 국내: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무신사, 쿠팡, 올리브영 입점 예정
  • 해외: 샤오홍수, 틱톡 등 글로벌 D2C 채널 확대

4. 유의 사항: 중복상장 논란

  • 모회사 청담글로벌과의 중복상장 우려
  • 청담글로벌은 바이오비쥬 지분 50.85% 보유
  • 하지만 사업영역 겹치지 않음, 바이오비쥬의 독립성 및 전문성 강조

양준호 대표는 “향후에도 사업 겹칠 일 없고, 메디컬 에스테틱이라는 독자적인 노선으로 지속 성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중복상장 논란 관련 기사 보기


5. 마무리: 바이오비쥬 공모주, 참여해도 될까?

수익성과 성장성 모두 입증된 기업, 해외 시장 주도력, 생산 설비 확장 기대감까지 갖춘 바이오비쥬. 공모가 밴드 기준 PER 15.12, 비교적 보수적 밸류에이션으로 평가돼, 수요예측 흥행 가능성도 높아 보입니다.

청약 일정은 5월 8~9일, 일반 투자자 대상으로 진행되며, 상장일은 2025년 5월 20일입니다.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수출형 기업에 투자하고 싶다면 바이오비쥬를 주목해봐도 괜찮을 거 같습니다.

대신증권에서 청약 신청하기

함께 보면 좋은 글

 

 

디엔솔루션즈 공모주 청약, 상장

2025년 5월, 공작기계 분야의 글로벌 강자 디엔솔루션즈(DN솔루션즈)가 코스피 상장을 앞두고 있습니다.이번 IPO를 통해 기계+자동화 솔루션 기업으로의 도약을 본격화할 계획이라고 하는데요, 이

dongdongblog.co.kr

 

 

 

이뮨온시아 공모주, 상장, 청약 (5월 7~8일)

2025년 5월 코스닥 상장을 앞둔 이뮨온시아 공모주 청약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는데요, 최신 면역항암제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이뮨온시아는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기술 이전을 목표로 하

dongdongblog.co.kr

 

 

2025년 5월 공모주 청약 일정, 주요 종목, 투자 전략

2025년 5월, 공모주 시장에 핵심 성장 기업들이 대거 청약을 앞두고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특히 디엔솔루션즈, 롯데글로벌로지스, 아우토크립트 등 산업별 대표급 기업들이

dongdongblog.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