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를 할 때 가격 변동에 대응하는 전략들이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물타기와 분할매수입니다.
이 두가지 전략 모두 주식을 추가로 매수하는 (추매) 방식인데요,
그 접근 방법과 목적에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이번 글을 통해, 물타기 계산법, 평균 단가 낮추는 방법, 그리고 물타기와 분할매수의 차이점까지 이해하시고, 투자 전략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어 가세요!
목차
1. 물타기란?
물타기는 주가가 하락했을 때 추가로 주가를 매수하여 평균 매입 단가 (평단가)를 낮추는 전략입니다.
이 방법은 주가가 반등할 때 빠르게 손익분기점에 도달하도록 하는 방법인데요, 하락이나 정체 기간이 길어질 경우, 인고의 시간을 거쳐야 하는 것이 단점이라고 할 수 있어요.
✅ 물타기 계산 공식:
물타기를 통해 평균 매입 단가를 낮출 수 있는데요, 평단가 계산은 다음 공식을 통해 도출됩니다.
(기존 매수 금액 + 추가 매수 금액) / (기존 매수 주식 수 + 추가 매수 주식 수) |
물타기를 통해 평균 매입가를 낮춤으로써, 다시 상승시 손실을 빨리 만회할 수 있습니다.
2. 물타기를 사용해서 평단가 낮출 수 있을까?
주가 하락 시 추가 매수하면 평균 매입 가격이 낮아지므로, 주가 반등 시 빠르게 손익분기점에 도달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장기적으로 성장 가능성이 있는 주식에 유효한 전략인데요, 하지만 기업의 재무 상태가 불안정하거나 산업 전망이 어두울 경우 물타기로 큰 손실을 볼 수 있으므로, 기본적인 재무정보를 확인하셔야 합니다.
✅기업 정보 확인 필수!
✅기업에 대한 성장 가능성이 확실하다면, 계속 추가 매수를 통해 평단가를 낮추는 전략도 괜찮습니다.
3. 물타기와 분할 매수의 차이점
물타기와 분할 매수 모두 주식을 여러번에 걸쳐서 매수하는 전략이지만 그 목적과 실행 방식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목적 | 설명 | |
물타기 | ✅주가가 하락 후, 추가 매수하여 평단가를 낮추는 것이 목적 |
✅초기 매수 후 주가가 하락장일 때 손실을 줄이기 위한 전략 ✅지속적 하락 시 추가 자금을 계속 투자하는 리스크가 있음 |
분할 매수 | ✅주가의 변동성을 고려하여 나누어 매수하는 전략 ✅투자 비용을 분산하여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목적 |
✅주가 상승, 하락과는 상관없이 계획적으로 일정량을 매수 ✅투자 타이밍에 대한 부담이 적음 |
✅물타기는 매수한 주식이 하락했을 때 손실을 줄이고자 추가 매수하는 전략
✅분할매수는 처음부터 리스크 분산을 위해, 여러번에 걸쳐 매수하는 전략
4. 물타기와 분할 매수를 사용할 때 주의 사항
리스크 | 전략 | |
물타기 | ✅주가가 하락하는 상황에서 추가 매수를 하는 것은 심리적으로 힘든 결정 ✅추가적인 자금 지출 필요 |
✅기업의 기본적 분석과 미래 성장 가능성에 대한 확신이 있을 때 사용할 것 |
분할 매수 | ✅상승 가능성이 낮은 주식 매수 시 효과 없음 | ✅투자 타이밍 예측 어려울 때 사용할 것 ✅성장 가능성이 큰 기업에 장기적으로 매수하면 큰 효과 기대 가능 |
✅물타기, 분할 매수 모두 주식 시장의 변동성에 대비하는 좋은 전략입니다.
투자 상황에 맞춰 적절한 전략을 선택하세요!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옵션 만기일 주가, 거래 시간, 변동성 (0) | 2024.11.24 |
---|---|
주식 이동평균선 보는법 및 종류 : 데드크로스, 골든크로스 패턴 이해하기 (0) | 2024.11.24 |
미국 주식 거래 시간 및 증권사 별 시간 외 거래 시간 비교 : 프리마켓, 애프터마켓 (0) | 2024.11.22 |
금투세 폐지 관련주 및 수혜주 정보 (0) | 2024.11.21 |
주식 양도소득세 계산 방법 및 신고 방법 (0) | 2024.11.14 |